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정보

탄소중립을 위한 쓰레기 분리배출 알아보기

by 소소행 2021. 7. 29.
반응형

소소행 입니다 ~


 

코로나로 인해 배달 음식을 많이 시켜 먹다 보니 쓰레기가 어마어마하게 증가하였습니다,

올바른 방법으로 분리배출하여 고품질의 원료로 다시 태어난다면 더 이상 쓰레기가 아닙니다.

오늘은 간단한 쓰레기 분리배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연간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페트병이 일 년에 30만 톤 이상이라고 합니다. 

그중 80% 이상이 재활용되지만 고품질 원료로 재활용되는 양은 단 10% 라고 합니다. 이유는 잘못된 분리배출 습관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 페트병  

 

1. 내용물을 비운다

2. 라벨을 제거한다.

- 이유 : 라벨을 제거할 때 본드로 인해 라벨지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재활용 시 제거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3. 찌그러트린 후 뚜껑 닫기 

- 이유 : 여기서 중요한 것은 찌그러트리기인데요 재활용 작업 시 아주 도움이 되는 작업이라고 합니다.

4. 투명 페트병은 전용 수거함에 유색 페트병은 플라스틱 수거함에 분리배출합니다.

 

 배달음식 용기  

 

비닐이 붙어 있는 경우는 비닐은 모두 제거해야 하고, 내용물은 깨끗하게 세척해서 분리배출해야 합니다. 

적당히 헹구고 비닐도 대출 제거해서 분리수거한다면 수고는 하였지만 소각장으로 간다고 합니다.

- 음식물이 제거되지 않는 마요네즈, 케찹통, 기름통은 제대로 씻고 말릴 경우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사실상 거의 대부분이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음식물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에는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하구요.

- 볼펜, 일회용 수저 등 부피가 작은 플라스틱은 현재 선별이 불가능하고 기계에 끼어 고장을 유발하므로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위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함께 붙어있는 제품은 완벽하게 분리가 되지 않는다면 무조건 일반 쓰레기로 분류하여 배출해야 합니다.

 

 종이류  

 

신문을 보는 집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대표적인 종이류에는 신문이 있습니다

신문의 경우 반듯하게 펴서 차곡차곡 쌓은 후 묶어서 배출을 하면 됩니다.

단. 홍보성 광고물의 경우는 딱 봐도 재질이 다르지요?? 코팅이 되어있는 꼭 광고지는 빼고 분리배출을 해주셔야 합니다.

 

 골판지 (택배박스)  

 

요즘 배송 시스템이 잘되어 있어 식료품 배송도 웬만하면 주문하여 사용하게 되는데요

아침에 출근할 때 보면 집집마다  현관문 앞에 새벽 배송된 택배 박스들이 쌓여있는 광경을 자주 보게 됩니다.

택배 박스의 경우 송장과 테이프는 제거를 하고, 오염 물질이 있는 경우 제거를 하고 분리배출해야 합니다

 

 종이팩류  

 

종류는 우유, 두유, 주스,  커피 등이 있습니다.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행군 뒤  종이류와 섞이지 않게 별도로 분리배출을 해야 합니다.

 


탄소중립을 위한 쓰레기 분리배출 알아보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