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행 입니다 ~
945년 8월 15일은 일본이 세계 제2차 대전에서 항복을 선언하고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국권을 회복한 날입니다.
한국사의 중요한 역사적인 순간을 기념하기 위해 8월 15일을 광복절로 지정하고 기념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늘은 광복절의 의미에 대해 알아볼까요 ~
광복절
◈ 유형 : 제도
◈ 시대 : 현대
◈ 성격 : 기념일, 국경일
◈ 시행일시 : 1949년 10월 1일
정의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광복된 것을 기념하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경축하는 날.
배경
국경일은 근대 국민국가의 보편적인 제도의 하나이다.
미군정은 1945년 10월 일제강점기의 경축일을 폐지하고 새롭게 축제일과 공휴일을 제정했다.
한국은 1948년 8월 15일 해방 3주년에 정부 수립을 선포하였다.
1949년 5월 국무회의에서 국경일을 제정했는데, 이때 8·15가 독립기념일로 제정되었으며,
1949년 10월 1일 법률 53호로 공포된 ‘국경일에관한법률’에 의해 광복절로 명칭이 수정되었다.
이후 지금까지 매년 8월 15일은 광복절로서 기념되고 있다.
한국 정부는 국경일과 함께 ‘각종기념일등에관한규정’을 1973년에 제정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광복절 기념 행사는 1970년부터 대통령이 참석하는 행사가 되었으나,
1974년 기념식장에서 영부인 암살 사건이 발생하여 우여곡절을 겪었다.
기념식 장소는 중앙국립극장, 세종문화회관, 독립기념관 등으로 바뀌었다.
내용
일제는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켰고, 1941년에는 미국을 공격하여 태평양전쟁을 일으켰지만,
1945년 8월 15일 일본은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였다.
한국은 이를 통해 광복을 되찾았고 일제에 의해 강제 동원된 한국인은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8·15의 의미는 해방, 독립, 광복의 세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1946년 8월 15일은 해방 1주년으로 비록 좌익과 우익으로 갈려 기념식이 치러졌으나,
전민족적 기념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였다.
1948년 8월 15일에 한국은 정부수립을 선포함으로써 이날의 역사적 의의를 드높였다.
1949년 이후 8·15는 광복과 정부 수립의 중첩적 의미를 지닌 날이 되었다.
광복의 개념은 국권 상실 직후에 결성된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나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와 협의를 거쳐 성립한 서간도의 광복군사령부(光復軍司令部),
철혈광복단(鐵血光復團), 1936년의 조국광복회, 1940년 임시정부가 재조직한 광복군 등을 통해 지속되었다.
해방 이전 광복이라는 개념과 가장 친숙한 존재는 임시정부 산하에 설치된 한국광복군과 이들이 발간한 『광복』이라는 기관지였다.
광복군은 1940년에 창설되었고, 『광복』은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정훈처가 1941년에 창간한 광복군의 기관지였다.
의의
광복절은 조국의 광복을 위해 투쟁한 순국선열들을 추념하고 민족의 해방을 경축하는 국경일이다.
그러나 동아시아에서 일본제국주의 지배와 침략전쟁의 유산이 완전히 청산되지 않았고,
광복 60주년이 지나도록 남북으로 분단되어 있는 상황은 광복절을
단지 과거의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는 날로 머무르게 하지 않는다.
점차 한반도의 통일과 동아시아의 평화를 기원하는 기념일로서 의미가 커지고 있다.
'소소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는 어떻게 해야 잘 하는건지 알고싶내요 (2) | 2021.09.18 |
---|---|
가을이 점점 다가오는듯 하내요~ 계절의 변화 알아보기 (0) | 2021.08.22 |
한 여름 소나기로 인해 생기는 무지개 아아보기 (1) | 2021.08.19 |
한국복권의 종류와 로또당첨될 확률 알아보기 (0) | 2021.08.06 |
일상으로의 여행 블로거 인사 드립니다 (0) | 2021.07.08 |
댓글